본문 바로가기

그곳에 가고 싶다

풍년을 기원하는 "평택농악 놀이 한마당"

저도 오늘 오곡밥 지어먹은 후 남산 한옥마을로 나들이를 나갔습니다.
마침, 천우각광장에는 평택농악팀이 올 한해 풍년을 기원하는 농악놀이 한마당이 펼쳐지고 있더군요.







 


 

평택농악(平澤農樂)

제27회 중요무형문화재 

평택은 소샛들이라는 넓은 들을 끼고 있어 예로부터 농산물이 풍부하였고,
이는 평택농악을 이루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또한 평택 근처의 청룡사(靑龍寺)는 일찍부터 사당패들의 근거지가 되어
조선 말기에는 그들의 농악이 크게 발달하였다.
그래서 평택농악은 두레농악인 동시에
걸립패농악(중들이 꽹과리치면서 염불하고 동냥하는 일)의 성격을 갖는다.


악기에 있어서 징과 북이 타지역에 비하여 적으며 소고와 법고의 구별이 없다.
가락의 가림새가 분명하며 노래굿이 있는 것도 특이하다.
또한 길군악칠채는 경기농악에만 보이는 장단으로
평택농악의 길군악칠채는 다른 지역과 구분된다.


농기수, 영기수, 쇄납, 쇠, 징, 북, 장고, 법고, 잡색(무동, 사미, 양반, 농부)으로 편성하되
8잽이(사물), 8법고, 8무동이 기본이다. 쇠, 장고, 법고수는 벙거지(전립)을 쓰며
쇄납, 징, 북수는 고깔 또는 벙거지를 쓴다.
벙거지의 물채엔 나비상을 단다.


판굿은 인사굿, 돌림법고, 오방진, 돌림법고, 당산벌림, 절구땡이법고, 사통백이, 원좌우치기, 네줄좌우치기, 가새벌림, 돌림법고, 연풍대(쩍쩍이), 무동놀이 등으로 짜여진다.
쇠가락은 기본적으로 칠채-마당일채-쩍쩍이-자진가락-더드래기-자진가락-삼채-쩍쩍이-자진가락-(물채가락)-영산더드래기-연풍대가락으로 진행된다.


무동의 수가 많고 무동타기가 돋보이며 칠채가락을 쓰는 점은 웃다리농악의 가장 큰 특징이다. 가락은 가림새가 분명하고 빠른 편이며 쩍쩍이 등의 독특한 가락이 있다.
굿거리는 원칙적으로 치지않고, 호호굿이 없으며 잡색중에 포수가 없다.


평택농악은 두레농악의 소박한 전통에 뿌리를 두면서도 공연성이
뛰어난 남사당패 예인들의 전문적인 연희를 받아들여 복합적으로 구성한 수준높은 농악이며, 무동놀이(어른의 목말을 타고 아이가 춤추는 놀이)가 특히 발달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