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늘로 창조하는 화려한 옷의 예술"이라는 제목처럼 그야말로 곱디 고운 우리전통 한복을 두 모녀는 섬섬옥수, 직접 지어 만든 고운 우리의 전통 한복을 전시해 두었더군요.
왼쪽은 홍관복이고 오른쪽은 모시중치막이랍니다.
관복은 옛날 우리선조들 중에 관리들이 입던 의상입니다.
예부터 관리들에게는 관복도 등급에 따라 색상이 다른 관복을 입었습니다.
관리들의 품계는 9품을 4등급으로 나누어 3품 이상의 관리는 자색의 관복에다 아홀을 주고 금어대를 찼으며, 4품과 5품은 짙은 붉은색 관복에다 역시 아홀과 금어대를 찼고, 또한 6품과 7품은 옅은 붉은색 관복에다 목홀을 쥐었으며, 8품과 9품은 녹색의 관복에다 목홀을 쥐었다.고 알려지고 있습니다.
자색관복을 입은 분은 고급관리였나 봅니다.
황룡포는 왕이 입은 의상입니다.
황원삼은 여성의 예복 중의 하나인데 당나라 활수의 포제가 들어와 오늘날 원삼이 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황원삼은 황후의 것으로 옷과 단대에 오조룡의 운용문을 금직하고 홍원삼은 왕비,초록색의 원삼은 공주나 옹주가 입었다네요.
또한, 원삼은 여자의 대례복으로 신분에 따라 그 색과 문양을 달리하였고 빈궁 의복안에는 노의,장삼,원삼이 있었는데 조선후기에 이르러 원삼 한가지로 예속되었답니다.
베자는 요즘으로 말하자면 조끼라고 보면 되겠죠.
색감이 은은하니 참 곱습니다.
색깔이 고급스럽습니다.
그러도 보면, 우리조상들의 예술적 감각이 뛰어나죠.
귀한 도령님의 품위가 느껴지는 옷입니다.
모양으로 봐서는 남자아이가 입은 옷인것 같은데 옷모양과 명칭이 재미있어요.
작은 주머니도 앙증맞고 띠에 놓여진 수도 아주 곱습니다.
아마, 귀한 양반집아기에게 사용했나 봅니다.
또한, 활옷은 가례(嘉禮) 때 주로 상류 계급에서 착용한 예복이나, 나중에는 서민도 혼례 때에 한해서 착용하였고, 근래에 와서는 결혼식때 폐백의상으로 상용하고 있는 옷입니다.
사모와 관대는 본디 벼슬아치의 복장이였으나 지금은 전통혼례에서 볼 수가 있습니다.
화려한 장식으로 보아 세자이거나 귀한 자제분이 쓰던 것인가 봅니다.
조선 말기에 생겨나 양반에서 서민까지 머리에 쓰던 것이 조바위입니다.
조바위는 머리에 꼭 맞게 만들어 이마와 귀를 완전히 덮고 윗부분을 드러내며 뒤는 낭자머리가 보이게 둥글게 터서 만들었는데 부녀자들의 방한모의 일종이라고 보면 되겠죠.

남산골 한옥마을 전통전시관에 전시되어있는 우리나라 전통 한복을 보니 길쌈짜던 우리할머니와 작은 인두를 곁에 두고 바느질하던 어머니의 모습이 떠오르더군요.
시간 나시면 한번 찾아보세요.
정말, 아름다운 우리전통 한복을 제대로 볼 수있는 좋은 기회라고 여겨지더군요.
전시장은 사진 찍는 것이 금지되어있는 곳입니다.
제가 몰래 사진 찍은 것들입니다.
전시장에 가시면 더 멋진 한복을 구경할 수 있습니다.
조바위는 머리에 꼭 맞게 만들어 이마와 귀를 완전히 덮고 윗부분을 드러내며 뒤는 낭자머리가 보이게 둥글게 터서 만들었는데 부녀자들의 방한모의 일종이라고 보면 되겠죠.
남산골 한옥마을 전통전시관에 전시되어있는 우리나라 전통 한복을 보니 길쌈짜던 우리할머니와 작은 인두를 곁에 두고 바느질하던 어머니의 모습이 떠오르더군요.
시간 나시면 한번 찾아보세요.
정말, 아름다운 우리전통 한복을 제대로 볼 수있는 좋은 기회라고 여겨지더군요.
전시장은 사진 찍는 것이 금지되어있는 곳입니다.
제가 몰래 사진 찍은 것들입니다.
전시장에 가시면 더 멋진 한복을 구경할 수 있습니다.
'추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옛날에도 김치냉장고가 있다.. (15) | 2008.07.15 |
---|---|
골목길 작은정원 "있을 건 다 있어요." (6) | 2008.07.14 |
바늘로 창조하는 화려한 옷의 예술 "우리고유의 한복" (10) | 2008.07.12 |
청계천에서 만난 하얀나비. (10) | 2008.07.07 |
청게천 소망의 벽에 "미국소도 있어요" (7) | 2008.07.06 |
청계천 풍물시장에서 본, 1905년도 펩시콜라 판매기. (3) | 2008.07.05 |
비밀댓글입니다
비밀댓글입니다
정말 아름다워요....
역시 우리것은 좋은 것이란 생각이
한낮에 땀을 흘리며 마친 산행이
아직도 몸을 덥게 만들고 있습니다
좋은 시간 되시구요
비밀댓글입니다
노을이도 모시옷 손질 해 둬야겠네요.
ㅎㅎ
안녕하세요.티스토리 입니다^^
회원님의 포스트가 현재 다음 첫화면 카페.블로그 영역에 보여지고 있습니다. 카페.블로그 영역은 다음 첫화면에서 스크롤을 조금만 내리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님께서 작성해 주신 유익하고 재미있는 포스트를 더 많은 분들과 함께 나누고자 다음 첫화면에 소개 하게 되었으니, 혹시 노출에 문제가 있으시다면 tistoryblog@hanmail.net 메일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앞으로도 티스토리와 함께 회원님의 소중한 이야기를 담아가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대학다닐때 문공화 교수님께 전통복식구성을 배웠었는데~ 이렇게 블로그에서 기사로 뵈니까 반갑네요~ 저희도 배자 만드는거 수업 했었는데 미싱이 아닌 일일히 손바느질로 만드는걸로 배웠었어요~^^ 배자의 소매선같은 곡선부분도 패턴을 그리는게 아니고~ 다림질로 일일히 동그랗게 공그렸었던것 같은데... 지금은 많이 잊어버렸지만... 참 재밌는 수업이었던것 같아요~
역시 좋은 포스트네요.
저도 한복 디자이너들 만나서 작업 하는 거 보고
이야기 나누는 것 좋아한답니다.
요즘 한국복식사에 대한 연구를 해보려고
자료들을 본격적으로 모으고 있습니다. 여인들의 장신구에도
관심이 많습니다. 잘 보고 갑니다.
너무 너무 이쁘다 생각하면 네이버에서 랄